광고 필수용어 200 (1~50)
1st Party Data [First party data]
광고주(브랜드)가 자사 웹사이트/앱(App), 온오프 광고/마케팅 활동 등을 통해 직접 수집 및 확보 가능한 데이터.
인사이트 도출은 물론 고객 생애 가치 (CLV, Customer Lifetime Value) 증대 등에 필수이며 마케팅의 성패를 좌우하는 1순위 데이터
2nd Party Data [Second party data]
내 브랜드와 연관성이 높은 다른 브랜드 또는 매체사(Publisher)의 1st Party Data.
파트너십을 통해 공유하거나 교환, 구매하여 서로 시너지를 내는데 활용. (ex. 현대기아차 & 현대캐피탈)
3rd Party Data [Third party data]
별도의 공급자(Data provider, 데이터회사)가 수집, 분류하여 판매하는 데이터.
360 Video
360도 각도로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360도 카메라 또는 구형(Spherical)카메라 시스템으로 촬영한 영상.
4D
바람, 물, 모션 등 시각 이외의 감각 요소가 추가된 복합적 환경을 의미하며 VR에서는 일반적으로 HMD에서 제공하는 영상에 모션 시뮬레이터에서 제공하는 모션이 추가된 것을 4D라고 부름.
Above The Fold(AFT)
신문을 접었을 때 위쪽에 헤드라인 등 상대적으로 중요한 내용이 들어가듯 사이트 접속 시 마우스 스크롤 없이 바로 볼 수 있는 메인 영역.
일반적으로 Below The Fold(BTF) 대비 광고단가 높음.
Acquisiton
웹사이트의 새로운 방문자를 확보하는 것
Ad Blocking
16년 광고 업계의 중요한 화두 중 하나인 PC/모바일 광고 차단.
모바일 트래킹 기업인 TUNE이 16년 1월 미국과 영국의 모바일 유저 4,000명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5% (15년 06월 대비 10배 증가한 수치)가 광고 차단 앱을 설치했다고 응답. 이런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IAB(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에서는 LEAN(Light, Encrypted, Ad choice supported, Non-invasive) 원칙을 매체사(Publisher)에 적극 권장하는 등 광고에 대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점차 활발해지고 있음.
Ad Exchange
수 많은 Ad Network가 연결되어 있는, Ad Network의 상위 개념.
DSP와 SSP, 즉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에서 경매 방식의 광고 거래를 중개하며 그와 관련된 정보와 흐름을 공유하는 거대 시장.
구글의 DubleClick Ad Exchange, 페이스북 익스체인지 (FBX, Facebook Exchange) 등.
Ad Network 대비 장점은 첫째, 개별 Impression의 실시간 (Real-Time)판매, 둘째, 구매자와 판매자 양쪽에 투명성 (Transparency) 제공, 마지막으로 광고 판매 및 송출에 대한 운영 이슈 절감
Ad Fraud
특정 작업을 반복 수행하는 프로그램에 의한 불법적 광고 노출과 클릭 (Bot Traffic 또는 NHT, 즉 Non-Human Traffic).
유저에게 도달하지도 못한 광고에 대해 광고비를 지불해야 하므로 광고주와 에이전시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부각.
Ad Blocking과 함께 최근 광고 업계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
Ad Inventory
인벤토리.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모든 공간. 주로 웹(PC/모바일)이나 앱의 광고 지면.
Ad Network
다수의 판매자 (Publisher)를 네트워크로 묶어서 구매자(Advertiser)와 연결.
광고를 송출하고 오디언스(Audience)를 타깃팅하며, 리포팅하는 기능도 있음.
GDN (Google Display Network)이 대표적인 Ad Network
Ad Serving
PC/모바일 웹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의 광고 소재를 어떤 인벤토리에 전송할 지 결정하고, 그 후의 과정을 추적/기록, 최적화하는 솔루션. 광고 소재 전송이라는 기본 기능은 물론, 여러 분석, 타깃팅 역량을 결합한 통합 마케팅 솔루션 형태로 진화함.
Ad Tech
광고 (Advertising)와 기술 (Technology)의 결합을 뜻하는 말.
광고를 집행, 관리하고 광고의 효과를 측정하는 일련의 과정과 관련 있는 모든 기술.
Ad Verification
브랜디 이미지, 광고 메시지와의 연관성 등 광고 노출 퀄리티 전반을 검증하는 과정. 광고 게재를 희망하는 페이지 내용이나 문맥 설정 (Contextual Targeting), 브랜드 이미지에 맞지 않는 사이트 차단 (Brand Safety), Viewability (예 : 광고 소재의 절반 이상이 1초 이상 노출되어야 Impression으로 인정) 등의 옵션이 있음.
CPM 기준 과금이며, 주요 벤더는 Peer39m, Integral Ad Science, Grapeshot, DoubleVerify 등.
Addressable TV
직역하면 Addressability (주소처럼 색인을 할 수 있는 조건)를 갖춘 TV 광고.
시청자를 세부적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는 기존 TV 광고와 달리, Addressable TV는 광고주가 희망하는 대상 가구만 선별.
타깃 광고, 맞춤형 광고라고도 할 수 있는데, 단어 그대로 보면 주소, 즉 거주지 기준만 있는 것 같지만 확보하는 정보에 따라 소득, 종교, 자녀유무, 신용 등급 등 다양한 기준으로 Addressability를 만들어낼 수 있음.
굳이 구분하자면 Programmatic TV의 하위 개념.
Ad Sense
구글이 운영하는 광고 프로그램으로, 광고주를 위한 Adwords와 대비됨.
웹사이트 소유자가 Ad Sense에 가입하면 구글에서 광고를 자동으로 웹사이트에 올려주며, 해당 웹사이트의 방문자가 그 광고를 클릭하면 구글이 광고주로부터 광고비를 받아 그 일부를 웹사이트 소유자 (Ad Sense 가입자)와 나눠 갖는 방식.
Advanced TV
기존의 TV (Traditional TV, Linear TV)에서 진화한 모든 TV를 지칭함.
디바이스 (PC, 모바일, 태블릿, OTT 디바이스, Gaming Console, 스마트TV 앱 등)에 대한 제약 없는 옴니 채널 (Omni-Channel) 비디오 캠페인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
AdWords
구글이 광고주를 위해 운영하는 광고 프로개름.
AdWords 계정을 통해 구글 네트워크 내으 웹사이트 (AdSense 가입 웹사이트 등)에 광고를 할 수 있음. 텍스트 광고는 물론 배너 및 유튜브 동영상 광고 가능.
Affiliate Marketing
쇼핑몰 외부 사이트에 제품 광고를 게재하고, 이 광고를 통해 고객이 제품을 구매하면 그 실적에 따라 해당 사이트에 일정 비율의 수익금을 보상으로 지급하는 방법.
아마존 (Amazon)이 원조이며, 국내에서는 옥션 (Auction)이 2000년대 초반부터 개시한 바 있음.
AIO (Activites, Interests, Opinions)
나이, 성별, 소득, 직업 등 인구통계적 (Demographic)분류로는 파악할 수 없는 심리적 (Psychographic) 특성과 라이프스타일 – 활동 (Activity)과 관심사 (Interest), 의견 (Opinion)을 뜻하는 약자. 1st Party Data와 외부 데이터를 결합/분석해 유추할 수 있음.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컴퓨팅 자원이나 데이터를 일정하게 활용할 수 있게 미리 구현해 놓은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플랫폼이 제공하는 API를 활용하여 원하는 형태로 커스터마이징 가능
AR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 사용자가 지각하는 것에 컴퓨터가 만든 정보를 추가하는 것. VR 이상의 시장을 형성할 것.
ARPU (Average Revenue per User)
유저/가입자당 평균 매출 (Revenue)
ATD (Agency Trading Desk)
DSP, DMP 등 다수의 Ad Tech 플랫폼을 자유자재로 활용, 광고주의 캠페인에 대한 플래닝과 바잉, 광고 효과 분석 및 리포팅을 아우르는 전문 조직.
캠페인 관련 데이터의 통합 분석을 통해 기존의 미디어 에이전시가 찾을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인사이트 제공 등 광고주의 퍼포먼스 향상에 기여하고 그에 따른 부가 수익을 얻음.
전세계 주요 광고 그룹 (WPP, Omnicom, IPG 등)은 모두 별도의 Trading Desk 컴퍼니를 Worldwide 레벨로 일원화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광고회사 미디어 부문의 새로운 사업 기회로 각광 받고 있는 영역
ATS (Ad Trading Summit)
대표적인 Programmatic Advertising 컨퍼런스 중 하나.
ExchageWire에서 매년 약 5회 (파리, 뉴욕, 도쿄, 런던, 싱가포르) 개최함.
Attribution
비즈니스 성과(전환-Conversion 등)에 대한 기여도.
여러 마케팅 채널이나 활동이 고객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
특히 고객이 캠페인 목표에 도달했다면 어떤 채널이나 이벤트가 가장 큰 역할을 했는지 계량화하는 것이 중요.
기존에는 주로 마지막으로 보거나 클릭한 광고를 전환에 기여했다고 판단했으나, 갈수록 광고 Impression 또는 View, Click, 검색, 유사 상품 조회, 웹사이트 방문 등 점점 세분화.
Audience Extension
타깃팅하는 오디언스의 스케일 (Scale), 즉 규모를 늘리기 위한 확장 작업.
예를 들어 광고주의 1ST Party Data를 3rd Party Data의 세그먼트(Segment)와 매칭, 유사 유저를 찾고 궁극적으로 가망 고객을 발굴할 수 있음.
Audience Targeting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타깃 유저를 3rd Party Data를 통해 선별, 이들에게만 광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타깃팅 기법.
미디어가 아닌 타깃 오디언스 (Audience)를 구매하는 것으로, Programmatic Advertising의 기본 개념.
Banner Ad
현수막이라는 뜻인 Banner에서 유래. 클릭 후 광고주 사이트 방문을 유도하는 이미지 위주의 광고.
Behavioral Targeting
유저가 예전에 방문했던 사이트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검색 또는 구매했던 제품 정보를 바탕으로 맞춤형 광고를 전달하는 일.
Below The Fold (BTF)
마우스 스크롤 후에 볼 수 있는 사이트 아래쪽 영역. 일반적으로 Above The Fold 대비 광고단가 낮음.
Bounce Rate
웹페이지에 유입된 방문자 중 스크롤링 이외의 다른 액션 없이 그대로 다른 외부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브라우저를 종료하는 비율.
Brand Safety
브랜드 이미지를 해칠 수 있는 사이트에 광고가 나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일.
Business Intelligence (BI)
기업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위해 데이터를 수집, 관리, 분석하는 일련의 작업으로서 통계분석, OLAP, 데이터 마이닝을 기본으로 고객관계관리시스템(CRM), 공급망관리(SCM), 전사적자원관리(ERP), 등을 포괄하는 의미.
Cinematic VR
영화 수준의 퀄리티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현재로서는 촬영 환경 및 디바이스가 구현할 수 있는 해상도의 한계로 인해 제한적.
Cluster Analysis
클러스터 분석.
주어진 데이터들의 특성을 고려해 데이터 집단(클러스터)을 정의하고 집단의 대표점을 찾는 것으로 데이터 마이닝의 한 방법.
Clutter
특정 지면에 너무 많은 광고가 등장함에 따라 광고 효과와 소비자의 광고 주목도를 낮추고, 부정적인 이미지를 전달할 여지가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
CLV (Customer Lifetime Value)
고객 생애 가치. 유저가 일으키는 매출 기대값. LTV(Lifetime Value)라고도 함.
당연히 UAC < CLV 일 때, 지속 가능한 서비스로 판단함.
Contextual Targeting
문맥 타겟팅, 웹페이지의 콘텐츠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광고를 게재하여 반응률을 높이는 기법.
Conversion
전환. 유저가 광고를 클릭한 후 광고주가 원하는 특정 행동(회원가입, 상품 구매 등)을 하는 것.
Conversion Rate (CVR)
전환율. 전체 클릭 중 전환이 일어난 비율.
Cookie
유저가 특정 사이트에 접속할 때 생성되는 정보를 담은 파일.
애초 인터넷 유저들의 사이트 이용을 돕기 위해 만들어짐.
예를 들어 사이트를 처음 방문하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기록한 쿠키가 만들어지고 다음에 접속했을 때 별도 절차 없이 사이트에 빠르게 연결할 수 있음.
쿠키는 웹브라우저가 자동으로 만들기도 하고 갱신하기도 하며 사이트로 기록을 전달하기도 함. 이용자가 사이트에서 어떤 행동을 했는지, 어떤 상품을 샀는지 등 모든 정보를 기록하므로 수집/분석하여 광고에 유용하게 활용함.
Correlation Analysis
상관분석. 두 개의 데이터(변수) 사이에 규칙성 있게 변화하는 방향과 정도를 파악하는 통계적 분석 방법.
CPA (Cost Per Action OR Acquisition)
유저가 광고를 클릭한 후 광고주가 원하는 특정 전환(회원가입, 상품구매 등) 목표를 달성한 데 드는 비용.
CPC (Cost Per Click)
유저가 광고를 클릭한 만큼 지불하는 클릭당 비용.
CPCV (Cost Per Completed View)
영상광고를 끝까지 봤을 때에만 과금하며, 그 View에 대해 지불하는 비용.
국내 일부 벤더에서는 CPCV를 Cost Per ‘Click OR View’로 사용하기도 함.
CPE (Cost Per Engagement)
유저가 광고 관련 액션을 수행했을 때에만 지불하는 비용.
예를 들어 유저가 마우스를 배너광고 위에 올리면(roll-over) 영상광고 본편을 보여주는 등, 미리 지정한 유저의 행동에 따라 과금 여부 결정함.